민주당 “내년 광주시 현안 사업 중 누락 예산도 챙기겠다”
광주시, GIST 부설 AI 영재고 등
10건 요구에 113억원 지원 검토
5·18 사적지 국가주도 관리 포함
2025년 09월 18일(목) 19:05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18일 오전 광주시청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광주시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해 강기정 광주시장과 악수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정부예산에서 누락된 광주시 현안을 어떻게 풀어낼지 관심이다.

광주시는 총 10개 국비지원 건의사업을 제시하며, 교육·문화·산업·환경·복지 전 분야에 걸친 재정 뒷받침을 요청했다. 민주당은 정부안 반영분에 빠진 광주시 국비 건의사업을 당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광주시가 요청한 10개 국비 요구 건은 총 113억 2000만원 규모로, 각 사업별 구체적인 내용과 지원 방안이 집중 검토됐다.

광주시는 가장 먼저 AI교육·인재축의 관문인 ‘GIST 부설 AI 영재고’ 설립에 대한 지원을 요구했다. AI영재고는 첨단3지구 인접 부지에 연면적 1만 6523㎡ 규모로, 2027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잡았지만, 현재 사업계획 검토 정적성 확보 단계에 머물고 있다. 광주시는 AI영재고-AI융합대학-AI대학원으로 이어지는 인재 사다리를 완성하는 연결고리라는 점을 부각했다. 광주시가 국비 9억 7000만원을 요구한 이 사업은 총 사업비 665억원 중 국비 466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로다.

5·18 역사·기억 인프라 확충을 위한 ‘빛의 혁명 발원지 5·18 구묘지 민주공원 조성’은 국가주도의 보존·관리·활용 체계 구축을 목표로 신규 반영을 요청했다. 이를 위해 5·18 구묘지 민주공원 조성에는 12억원이 필요하다고 광주시는 당에 제안했다. 빛의 혁명 발원지이자 5·18 정신이 깃들어 있는 5·18 사적지를 국가 주도로 보존·관리·활용하기 위한 사업이다. 사업이 반영되면 2028년까지 민주 역사광장·공원 조성과 5·18~민주화 운동 추모·역사관 건립이 추진된다.

의료문화자산인 ‘옛 광주적십자병원 보존 및 활용’도 신규 요구에 포함됐다. 낙후된 도심 의료·복지·문화 기능을 재생하고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 거점을 만들자는 취지다.

광주시 동구 불로동에 위치한 옛 광주적십자병원 보존 및 활용사업에는 17억원이 요청됐다.

미래모빌리티 인지부품 기능안전 시험지원 기반 구축에는 24억원이 필요하다고 광주시는 설명했다. 자율주행차, 로봇, 항공 및 지능형 교통체계(C-ITS) 시스템 등에 활용되는 모빌리티 인지부품(라이다, 레이다, 카메라 등)의 기술 고도화 기반 구축을 위한 사업이다. 총 사업비 191억원 중 99억원에 달하는 국비가 필요한 프로젝트다.

수직이착륙기 비행안전성 실증시험 지원센터 구축에는 15억원이 요구됐다. 고전압(700V) 운항상태에서 전력추진 비행체의 시험평가를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이 국내에 전무한 상황에서 필요한 사업이다. 빛그린국가산단 내에 총 사업비 302억원을 투입해 미래항공모빌리티 항공전자장비 및 자율비행 소프트웨어 성능시험 및 평가·인증 등 기업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광주시가 추진하는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 조성’에는 2억원의 타당성 조사 용역비 지원이 요청됐다. 지역 콘텐츠 기업의 기획·제작·유통 전 과정을 연결하는 융복합 제작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한 신규 국비사업이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역공약인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3.0 시대’와 연계된 사업이다. 총 사업비 2500억원 규모로 2035년까지 10년간 추진되며, 500개 콘텐츠테크기업 집적화와 1000개 전문일자리, 1만명의 콘텐츠 종사자 정주를 통한 콘텐츠 컴팩트시티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에는 4억5000만원이 요청됐다. 광주시민의 오랜 염원인 무등산 정상부의 완전한 개방과 세계적 유산인 무등산의 복원을 위해 필요한 사업이다. 총 사업비 158억5000만원이 투입되며, 북구 금곡동에 108,428㎡ 규모로 통합생활관 등 군시설 16동이 건립된다. 무등산 정상 완전개방에 따른 사회·경제적 가치가 3006억 5000만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영산강 수질정화 인공습지 조성에는 7억원이 신청됐다. 영산강 유역 내 농지·축사·도로 등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총 사업비 140억원을 투입해 시설면적 6만 5570㎡, 처리용량 4만3435㎡ 규모의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수질정화 생태습지를 조성을 한다는 것이다.

지역사회 통합돌봄 지원에는 20억원이 요구됐다. 2026년 3월 ‘돌봄통합지원법’ 전면 시행에 따른 서비스 확충을 위한 사업으로, 광주다움 통합돌봄 모델의 전국 확산을 지원한다.

민주당은 이들 사업의 국회 단계 예산 반영을 위해 각 상임위별 담당 의원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기획재정부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광주지역 현안 해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ne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ew.kwangju.co.kr/article.php?aid=1758189900789578277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9일 04:55:36